존 웨슬리(John Wesley)의 기도문
John Wesley's Covenant Prayer
I am no longer my own, but Yours.
Put me to what You will, rank me with whom You will;
Put me to doing, put me to suffering;
Let me be employed for You or laid aside for You,
Exalted for You or brought low for You;
Let me be full, let me be empty,
Let me have all things, let me have nothing.
I freely and wholeheartedly yield all things to Your pleasure and disposal.
And now, glorious and blessed God,
Father, Son, and Holy Spirit,
You are mine and I am Yours.
So be it.
And the covenant now made on earth,
Let it be ratified in heaven. Amen.
존 웨슬리의 서약 기도
나는 더 이상 내 것이 아니요, 주님의 것입니다.
주님이 원하시는 대로 나를 사용하시고, 주님이 원하시는 자리에 나를 두소서.
나를 일하게 하시거나, 고난을 받게 하소서.
나를 주님의 일을 위해 쓰시거나, 버려 두소서.
나를 높이시거나, 나를 낮추소서.
나를 풍성하게 하시거나, 나를 비우소서.
내게 모든 것을 주시거나, 내게 아무것도 주지 않으셔도 됩니다.
나는 모든 것을 주님의 기쁨과 뜻에 맡기며 기꺼이 순종합니다.
그리고 이제, 영광스럽고 복된 하나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여,
주님은 나의 하나님이시며, 나는 주님의 자녀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이 서약이 땅에서 이루어졌으니,
하늘에서도 굳게 서게 하소서. 아멘.
지극히 은혜롭고 자비하신 하나님이시여.
당신만이 상처입은 정신을 치유하시고
번민하는 마음을 평정하게 하시오니
나는 구원을 바라며 당신께 외치옵나이다.
영육의 위대하신 치료자시여
내 약하고 낙심하는 정신에 위안을 주시옵고
격려하여 주시옵소서
주님만이 나를 구원하시옵니다.
그래서 구원를 바라며 주님께 외치옵니다.
내 최고의 외침을,
이 타오르는 열렬한 기원을 들으시옵고,
나의 믿음을 당신께 두시고 안전하고 평정되고
유쾌한 정신을 소유하게 하시옵소서
우리 주님의 구원하심을 조용하게 기다리고
바라는 것이 진실로 선한 일이옵니다.
당신의 안식처를 허락하시옵고
내 영혼이 더이상 소란하지 않게 하시옵소서
당신의 안식처를 허락하시사
내 영혼이 하나님 안에서
당신의 구원과 안식하게 하여 주시옵소서.
-아 멘-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는 영국 국교회(성공회)의 사제로서, "감리교(Methodism)"의 창시자로 가장 잘 알려진 인물입니다. 웨슬리는 그의 설교와 신앙 운동을 통해 영국과 세계 곳곳에 기독교 신앙의 부흥을 일으켰으며, 특히 개인적 경건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신학적 접근은 성경, 이성, 전통, 경험이라는 네 가지 기초 위에서 발전하였습니다.
주요 특징과 업적:
- 감리교의 탄생:
- 웨슬리는 원래 영국 성공회 사제였지만, 당시 교회의 경직성과 부패에 문제를 느껴 교회의 밖에서도 설교하며 복음을 전파했습니다.
- 그의 동생 찰스 웨슬리와 함께 '성결 운동'(Holiness Movement)을 추진했고, 이 운동이 나중에 감리교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감리교는 철저한 자기 성찰과 경건 생활을 위한 "규칙적(methodical)"인 신앙 생활을 강조했기에, 이 운동을 '메소디즘(Methodism)'이라 불렀습니다.
- 열정적인 설교자:
- 웨슬리는 교회의 안팎에서 설교했을 뿐 아니라, 당시에는 흔하지 않던 방식으로 옥외 설교를 통해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는 평생에 걸쳐 40만 km 이상을 말을 타고 여행하며 약 4만 번의 설교를 했다고 전해집니다.
- 구원의 보편성:
- 웨슬리는 구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은혜는 누구에게나 주어지며,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당시의 칼빈주의적 예정론과는 대비되는 신학적 입장이었습니다.
- 사회적 개혁:
- 존 웨슬리는 개인의 영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의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노예 제도에 반대했고, 가난한 자를 돌보고,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싸우며, 교육과 건강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 성화의 강조:
- 웨슬리는 **성화(holiness)**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는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구원을 받은 이후에도 끊임없이 영적으로 성숙해가며,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존 웨슬리의 영향
웨슬리의 신앙 운동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감리교회와 성결교회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의 삶과 가르침은 개인적인 신앙 생활의 중요성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과 정의 실현을 동시에 강조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웨슬리의 열정과 헌신은 "세상을 나의 교구로 삼겠다"는 그의 유명한 말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