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uary 17 - Present Suffering and Future Glory 현재의 고난과 장래의 영광
January 17 - Present Suffering and Future Glory
“They sow the wind and reap the whirlwind. The stalk has no head; it will produce no flour. Were it to yield grain, foreigners would swallow it up.” - Hosea 8:7
Pain and suffering visit all of us at one time or another – and we all want to be rid of them. Many times, our methods of doing so exclude God’s healing and grace. God does not usually do away with our pain but never wastes our sufferings. Pain can warn us of a problem or tool to shape our lives into something beautiful. “For I am about to fall, and my pain is ever with me.”(Psalm 38:17).
God will give us faith and strength to match the trials and the pain that seeps into our lives. He does not leave us alone in our suffering. It is also comforting to know that God himself experiences deep pain when his people reject him, that Jesus endures a painful death to bring us back to God, and that his Spirit groans with us in praying for God’s will.
Humans were not created to experience pain – they brought pain into existence when they rebelled against God. Pain is a natural consequence of sin and will not be fully eradicated until Jesus Christ returns and creates a new world. We all struggle with pain, sometimes to the point of despair. (Ecclesiastes 2:23).
Sometimes, Christians suffer trials and persecution because of their faith in Christ. Of course, Christians suffer from their decisions and behavior, too. When Christians disobey God’s Word and commit a sin, God disciplines his people. Christians have to obey God’s word so that we do not receive unnecessary suffering from our sins. “If you suffer, it should not be as a murderer or thief or any other kind of criminal, or even as a meddler.”(1 Peter 4:15).
This principle is shown once in the Old Testament and twice in the New Testament, in Hosea(8:7), 2 Corinthians(9:6), and Galatians(6:7-8). We know that we deserve punishment for what we did. Most sufferings are the result of our previous disobedience to God and sin. Therefore, the first solution for suffering is repenting from our sins to God, who gladly forgives our sins. After that, we must serve Jesus, our Savior, and live obedient lives. Furthermore, God will surely bless us when we suffer despite good deeds.
This does not mean that all suffering results from good Christian conduct. Peter says to distinguish between suffering for being a believer and for doing wrong things. We can be assured, however, that whenever we suffer because of our loyalty to Christ, he will be with us all the way(1 Peter 4:14-16). Our world is temporary. Paul says, “I consider that our present sufferings are not worth comparing with the glory that will be revealed in us”(Romans 8:18).
“A little thorn may cause much suffering. A little cloud may hide the sun. Little foxes spoil the vines, and little sins mischief the tender heart. These little sins burrow in the soul and make it so full of that which is hateful to Christ that he will hold no comfortable fellowship and communion with us. A great sin cannot destroy a Christian, but a little sin can make him miserable.” - Charles Spurgeon.
Today’s Prayer: Praise Jesus Christ for his incomprehensible humility. Thank him for humbling himself to die on the cross so you might be free. Confess any pride, egotism, or boastfulness you find in yourself. Commit yourself to 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but in humility to consider others better than yourself (Philippians 2:3).
Prayer Pointer: I would not fear a million enemies if I could hear Christ praying for me in the next room. Yet, distance makes no difference. He is praying for me. – Robert Murray MaCheyne
Bible Reading: Genesis 41; Matthew 13:1-32
1월 17일 - 현재의 고난과 장래의 영광
“저희가 바람을 심고 광풍을 거둘 것이라 심은 것이 줄기가 없으며 이삭은 열매를 맺지 못할 것이요 설혹 맺을지라도 이방 사람이 삼키리라 - 호 8:7
우리에게 고통과 고난이 찾아오면 어려움에서 벗어나기를 원하면서도 하나님의 치유와 은혜를 배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은 우리의 고통을 제거하시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고통과 고난은 어떤 문제에 대한 경고가 되고 삶을 더 아름답게 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내가 넘어지게 되었고 나의 근심이 항상 내 앞에 있사오니”(시 38:17).
하나님은 우리에게 삶의 시련과 고통을 이길 수 있는 믿음과 능력을 주십니다. 하나님은 고난 가운데 우리를 홀로 두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서도 그의 백성들이 불순종하고 외면할 때에 깊은 고통을 경험하신 것, 예수님께서 우리를 주님께로 인도하기 위해 십자가의 고통을 참으신 것, 성령도 하나님의 뜻을 위해 탄식하며 기도하시는 것을 우리가 아는 것이 큰 위로가 됩니다.
인간은 본래 고통 속에 살도록 창조되지 않았습니다. 인간이 하나님을 거역하였기 때문에 고통이 우리 삶 속에 찾아온 것입니다. 고통은 인간 범죄의 자연적 결과이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시고 새로운 세상이 창조되기 전까지는 고통은 완전히 없어지지 않습니다. 우리 모두는 고통과 싸워야 하고, 때로는 절망의 순간까지 싸워야 합니다(전 2:23).
때때로 그리스도인들이 주님은 믿는 신앙 때문에 시련과 핍박을 받습니다. 물론, 그리스도인들은 스스로의 잘못된 행동과 결정 때문에 고난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고 범죄하면 하나님은 징계하십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반드시 순종하여 범죄로부터 오는 불필요한 고난을 받지 않아야 합니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살인이나 도둑질이나 남의 일을 간섭하는 자로 고난을 받지 말려니와”(벧전 4:15).
이 원인과 결과의 원리는 구약에 한번, 신약에 두 번 나오는데 호세아서(8:7)와 고린도후서(9:6), 그리고 갈라디아서(6:7-8)에 나옵니다. 우리는 자신이 잘못한 일에 대한 마땅한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대부분 우리의 고난은 과거에 말씀에 불순종한 결과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난에 대한 첫 번째 해결 방법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는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구주되신 예수님께 순종하며 섬기는 삶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선한 일로 고난을 받을 때 우리를 더욱 축복해 주시는 것입니다.
모든 고난이 선한 그리스도인 행실에서 비롯된 것은 아닙니다. 베드로는 믿는 자가 받는 고난과 잘못한 일로 받는 고난을 구별하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과 충성 때문에 고난을 당할 때마다 항상 주님이 함께 하심을 확신해야 합니다(벧전 4:14-16).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잠깐입니다. 바울은 "생각하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도다" (로마서 8:18)라고 말합니다.
"작은 가시가 많은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작은 구름이 태양을 가릴 수 있습니다. 작은 여우는 포도 나무를 망칩니다. 그리고 작은 죄는 부드러운 마음에 해를 끼칩니다. 이 작은 죄들이 영혼 속에 파고들고, 그리스도께서 미워하는 것으로 가득 차게 하여, 그분께서는 우리와 편안한 교제와 교통을 하지 않으실 것이다. 큰 죄는 그리스도인을 파괴할 수 없지만 작은 죄는 그를 비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찰스 스펄전
오늘의 기도 : 예수 그리스도의 이해할 수 없는 겸손을 찬양하고, 당신을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주님의 겸손에 감사하십시오. 당신 안에 있는 교만, 이기주의, 자랑과 같은 죄를 고백하고, 아무 일에나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도록 헌신하십시오(빌 2:3).
기도 지침 : 만일 내가 그리스도가 바로 옆방에서 기도하시는 것을 들을 수 있다면 수백만의 원수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거리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주님은 지금 나를 위해 기도하고 계신다. - 로버트머레이맥쉐인
성경 읽기 : 창세기 41장; 마태복음 1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