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님, 나는 무엇을 간구해야 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당신은 모든 것을 아십니다. 나는 고통 중에 당신을 부르고, 당신이 나를 위로하길 바랍니다. 그러나 당신의 지혜로 나를 다스려 주시옵소서. 나는 내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당신은 나를 아십니다. 그러니 나를 인도하시고, 내가 더 이상 혼란 속에 빠지지 않게 하소서. 주님, 내 의지와 나의 욕망을 꺾어주시고, 당신의 뜻만이 내 안에 이루어지게 하소서."


"Lord, I do not know what to ask for. But You know everything. In my suffering, I call upon You and wish for Your comfort, yet in Your wisdom, guide me. I do not understand myself, but You know me. So lead me, that I may not fall into confusion any longer. Lord, break my will and my desires, and let only Your will be done within me."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1813–1855)는 덴마크의 철학자이자 신학자, 심리학자, 문학가로, 실존주의 철학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 개인적 선택, 신앙의 문제에 대해 깊이 탐구했으며, 특히 개인의 자유와 책임, 절망, 불안, 신앙을 다룬 그의 사상은 이후 철학과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키에르케고르의 주요 사상과 개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실존과 주체성

  • 그는 인간이 세상을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인간은 보편적 원리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고유한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인간은 불확실성과 선택의 자유 속에서 살아가며, 이를 통해 자아를 형성하게 됩니다.

2. 불안과 절망

  •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이 자유로 인해 느끼는 불안을 강조했습니다. 자유는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불안감을 초래합니다.
  • 또한 인간은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절망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 절망을 극복하는 것이 인간의 중요한 과제라고 보았습니다.

3. 신앙과 도약

  • 그는 신앙을 이성적 이해를 넘어서는 **"신앙의 도약"**으로 설명했습니다. 이는 신앙이 논리적 증명이나 이성적 추론으로 이해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 인간이 신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이해하고, 그 관계 안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습니다.

4. "죽음에 이르는 병"

  • 그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을 병에 비유하며,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는 것이 절망의 근본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 이 책은 인간이 신과의 올바른 관계 속에서만 절망을 극복하고 온전한 존재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5. "미적", "윤리적", "종교적" 삶의 단계

  •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의 삶을 세 단계로 구분했습니다: 미적 단계(쾌락과 감각적 경험을 추구), 윤리적 단계(도덕적 의무와 책임을 중시), 종교적 단계(신앙을 통한 삶의 의미를 추구).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은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모순을 깊이 성찰하며, 이후 실존주의 철학자들(예: 장 폴 사르트르, 마르틴 하이데거)과 심리학,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