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존 칼빈이 제네바에서 예레미아애가를 본문으로 강해설교를 한 후 기도한 내용 중에서>

 

1

 

전능하신 하나님

오늘날 우리들이 당신의 교회가 시련을 받는 것을 볼 때에 눈을 들어 우리 자신들의 죄를 보게 하시옵소서

그리하여 당신의 보좌 앞에서 우리들이 겸비해져서 소망을 잃지 않고 죽음 가운데에서 생명을 기다리게 하옵소서

우리들이 주님을 신뢰하여 입을 열어 당신의 이름을 담대하게 부르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아멘

2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징계를 주실 때에는 우리 속에 진리의 빛이 꺼지지 않게 하소서

우리들이 어둠에 갇혀 있었더라도 조그만 불씨라도 보게 하시고 당신의 선하심과 긍흉을 기억케 하소서

그리하여 우리로 하여금 당신의 강한 팔 아래에서 겸비케 하시고 엎드려 진정으로 회개하게 하소서

우리로 또한 하늘을 향한 소망을 드높이게 하시고 우리가 당신의 독생자를 통해 간구할 때에 주께서 우리들과 마침내 화해하실 것을 의심치 말게 하소서

 

3

 

전능하신 하나님

 

우리는 수많은 유혹들과 항상 싸우지 못합니다

당신이 우리들을 도우시지 않으시면 우리는 연약하여 넘어갑니다

 

원컨대 우리들이 당신의 크신 능력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시옵소서

당신이 우리를 낮추실 때에는 우리 자신의 죄를 부끄럽게 여기고 승리할 때가지 인내로 분투케 하소서

그리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당신의 영속적인 도움을 찬양하게 하옵소서

아멘

4

전능하신 하나님

오늘날 우리들의 원수이며 또한 당신의 원수들인 자들이 당신의 거룩한 이름을 모욕할 때에 그들의 입을 막으시옵소서

또한 우리들이 마땅히 징계를 받아야 할지라도 당신의 영광된 이름을 생각하셔서 우리들을 용서하시고 우리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아래로 모아 주시옵소서

당신의 독생자이신 우리 주님이 그의 피로 구속하신 하늘 나라에서 우리들이 모두 모여질 때까지 당신의 흩어진 교회를 회복시키옵소서

아멘

5


전능하신 하나님 당신께서는 이전에 당신의 백성들을 무섭게 심판하셨습니다

오, 하나님 이러한 징계들이 오늘날 우리들의 경종이 되어 당신의 이름을 두려워하게 하시고 근신과 겸손으로 우리들이 받은 소명의 길을 잘 감당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우리들의 인도자는 언제나 당신이시며 당신의 손이 항상 우리를 향해 펼쳐져 있어 마침내 하늘 나라에서 모두 만나 영생을 누릴 것을 깨달아 알게 하소서

당신의 독생자께서 그의 피로 얻어주신 영원한 생명을 감사드리며 아멘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프랑스 출신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자이며 장로교회 창시자(1509-1564년)이다. 

프랑스명은 '장 코뱅'(Jean Cauvin). 독일명은 '요한 칼빈.' 라틴어 이름 '칼비누스'(Ioanis Calvinus)를 사용하면서 '장 깔뱅'(Jean Calvin)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존 칼빈'은 영어식 이름이다.

1509년 7월 10일 파리 북동부 노용(Noyon) 시에서 출생했다. 아버지 제라드 칼빈은 원래 하층민이었으나 시민권을 획득하여 노용 시의 상류층 인사들와 교류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 때문에 칼빈은 노용 지방의 교회 장학금으로 1523년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 변론학을 공부하였다.

그 후 아버지의 뜻을 좇아 오르레앙(Orleans) 대학과 부르즈(Bourges)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또 1530년에는 파리 대학에서 헬라어와 히브리어 등 인문학을 공부하기도 했다. 칼빈은 법률과 고전어 등 인문학에 관심이 많았고, 신학을 공부할 계획은 없었지만 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한 1531년부터 1534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갑작스럽게 회심(sudden conversion)하였다. 후에 칼빈은 시편 주석에서 이때를 회상하며 하나님께서 갑작스럽게 나의 마음을 돌리셨다고 고백하였다.

그 후 1534년 5월 4일 노용에서 가톨릭교회가 주는 연금을 거부하고 투옥되었다가 그해 10월 미사 반박문을 내고 신변의 위협을 느껴 1535년 스위스 바젤로 피신하였다. 그의 미사 반박문 때문에 프랑스에서 신교도가 박해받자 1536년 3월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1494-1547년)에게 보내는 서문을 붙여 「기독교강요」(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를 출간하였다. 그의 나이 26세 때였다.

서문에서 그는 기독교가 결코 위험하지도 부도덕하지도 않음을 강변했다. 또 칼빈은 이 책에서 기독교 교리와 신자의 생활을 논리적이며 조직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무엇보다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아울러 하나님 앞에 선 인간에 대한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하나님은 신자의 올바른 신앙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교회와 정부라는 기관을 두셨다고 가르쳤다.

1537년 칼빈은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년)의 성화에 못 이겨 제네바에 정착하여 성 바울교회에서 성경을 가르쳤고, 다시 1년 후에 설교자가 되었다. 그는 파렐을 도와 제네바를 경건한 모범 공동체로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시의회의 반대로 실패하고 1538년 4월 23일 추방되어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독일 지명, 스트라스부르크)로 피신하였다. 거기서 3년 동안 목회 생활을 하며 개혁자들과 교제하고 신학을 가르치는 등 순탄한 시간을 보냈다.

또 1540년에는 이들레트 드 뷔르라는 여자와 결혼하여 사별할 때까지 9년 동안 결혼 생활하며 여러 자녀를 낳았다. 이때 기독교강요 증보판과 로마서 주석을 집필하였다. 이 와중에 1541년 9월 칼빈을 추방시킨 반대파가 쫓겨났다. 칼빈은 여러 차례의 요청으로 할 수 없이 환영을 받으며 제네바로 가게 되었다. 여기서 칼빈은 과거 자신이 제네바 시에 제안한 것보다 더 분명한 새로운 교회헌법을 통과시켜 장로법원을 만들고 평신도들을 훈련시켰다. 그리하여 제네바는 거의 20여 년 동안 신정정치가 행해졌다. 그는 제네바에서 불성실한 신도를 파문하고, 죄질이 나쁜 자는 시의회에 고발해 처벌받게 하는 등 철저한 경건주의에 기초한 법률로 모든 시민의 생활을 통제하였다.

예를 들면, 세례식 때 하품을 하거나 예배 시간에 졸면 구속을 시켰고, 모든 술집은 철거하고, 축제는 폐지하였다. 또 대중 식당에서도 기도하고 성경을 읽은 후에 음식을 주문해야 했다.

이 여세를 몰아 1559년에는 제네바에 개혁주의 대학, 곧 제네바 대학을 설립했다. 이 대학은 당시 유럽에서 개혁주의를 가르치는 가장 대표적인 학교로서 온 유럽의 목사들이 유학하여 훌륭한 교직자 양성소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리하여 칼빈의 사상은 프랑스, 네덜란드, 스코틀랜드, 영국을 비롯하여 폴란드, 헝가리에 이르기까지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그는 늘 건강이 좋지 못했고, 음식도 가려야 했으며 게다가 끊임없는 연구로 잠이 부족하였다. 그리하여 1564년 2월 16일의 설교를 끝으로 더 이상 설교를 할 수 없었으며, 그를 방문한 파렐의 품에서 5월 27일 55세를 일기로 제네바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는 170달러를 유산으로 남길 만큼 평소의 검소함을 잃지 않았고, 묘지에 비석을 세우지 말도록 유언할 정도로 하나님 앞에서 철저한 개혁자의 자세로 살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존 칼빈 [John Calvin] (교회용어사전 : 교파 및 역사, 2013. 9. 16., 가스펠서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