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rd,
We thank you for your church, founded upon your Word, that challenges us to do more than sing and pray, but go out and work as though the very answer to our prayers depends on us and not upon you.
Help us to realize that humanity was created to shine like the stars and live on through all eternity.
Keep us, we pray, in perfect peace.
Help us to walk together, pray together, sing together, and live together until that day when all God's children—Black, White, Red, and Yellow—will rejoice in one common band of humanity in the kingdom of our Lord and of our God,
we pray.
Amen."
"주님,
당신의 말씀에 기초한 교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교회는 우리가 단지 노래하고 기도하는 것을 넘어, 우리의 기도의 답이 당신이 아닌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도전합니다.
인류가 별처럼 빛나고 영원히 살아가도록 창조되었음을 깨닫게 도와주소서.
우리를 완전한 평화 속에 지켜주소서.
우리가 함께 걷고, 함께 기도하고, 함께 노래하며, 함께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흑인, 백인, 붉은 사람, 노란 사람—이 주님의 나라와 우리의 하나님의 나라에서 하나의 공동 인류로 기뻐하는 그날까지, 우리를 지켜주소서.
아멘."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는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로, 특히 인종 차별 철폐와 인권 증진을 위해 헌신한 인물입니다.
1929년 1월 15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났고 모어하우스 칼리지, 크로저 신학교, 보스턴 대학교를 졸업한 후 목사와 시민운동가로 활동했습니다.
1954년 몽고메리에서 목사로 임명됐고,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이끌며 비폭력 저항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남부 기독교 지도 회의(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를 설립하여 비폭력 저항과 시민 불복종을 통해 인종 차별 철폐 운동을 주도하였습니다.
1963년 워싱턴 행진에서 "I Have a Dream" 연설로 인종 차별과 불평등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였고,
비폭력 저항 운동과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습니다.
1965년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의 행진하며 투표권 확대와 시민권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968년 4월 4일,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암살당해 사망했습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미국과 전 세계에 걸쳐 인권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기억됩니다. 그의 비폭력 저항 철학과 인종 간 평등에 대한 비전은 현대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생일인 1월 15일은 미국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날(Martin Luther King Jr. Day)로 기념되고 있습니다.
'기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기 목사의 기도 (4) | 2024.07.27 |
---|---|
칼 바르트 Karl Barth의 기도문 (1) | 2024.07.26 |
Prayer of Surrender - Elisabeth Elliot (0) | 2024.07.23 |
Missionary Underwood's Prayer 언더우드 선교사의 기도 (2) | 2024.07.23 |
라인홀드 니버의 평온을 위한 기도문 (0) | 2024.07.22 |